이번 시간에 알아볼 밈은 바로 '페이크다 이 병X들아'입니다. 주로 유튜브 영상에서 가끔씩 음성 소스로 등장하는 말인데 과연 이것은 어디에서 유래되었을까요? 어디에서 나왔는지부터 시작해서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지 예시와 함께 하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합시다.
먼저 유래는 매너방위대입니다. 매너방위대의 원본은 일본의 초신성 플래시맨이라는 애니메이션을 편집과 더빙으로 막장으로 만든 것인데요, 우선 초신성 플래시맨에는 해당 대사가 없고 상황도 완전 다른 상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초신성 플래시맨을 패러디한 매너방위대가 '페이크다 이 병X들아' 밈의 원본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위의 영상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주인공인 1호기가 변신을 하는 척 하다가 "페이크다 이 병X들아!"라고 대사를 치며 도망갑니다.
주로 다른 사람들이 어떠한 사실에 대해 믿고 있으며 의심하지 않는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반전이 나오는 경우 사용됩니다. 유튜브 영상에서 소스로 사용되는 것들은 전개가 잘 흘러가다 갑자기 확 돌변하거나, 혹은 뒤통수를 얻어맞는 상황이 나온다거나 할 때 이 음성대가사 사용되죠.
실제로 어떤 식으로 사용할 수 있냐면 누군가를 속일 때 사용 가능합니다. 예를 들면 시험이 끝난 뒤 낮은 점수를 받은 것 처럼 우울한 모습으로 있다가 친구들이 시험을 망쳤냐고 물어봤을 때 "페이크다 이 병X들아"라고 사용할 수도 있겠죠? 그 외에 단톡방에서도 뭔가 실컷 망했다는, 잘 안풀렸다는 느낌을 주다가 실제로는 잘 풀렸다고 하면서 해당 밈을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약간 낚시 밈에도 적용되네요.
'페이크다 이 병X들아' 밈 역시 그 원본이 되는 매너방위대가 무려 15년 전인 2006년에 처음 나왔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은 사실 잘 사용되지 않지만 그래도 가끔 유튜브에서는 음성 소스로 만나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해당 멘트가 찰지기도 하고 임팩트가 크기도 했다는 것이죠. 뭐, 매너방위대는 이 대사 말고도 여러 재미있는 대사들이 있고 보는 사람에 따라 웃기기도 하니 궁금하신 분들은 한번 유튜브에 매너방위대를 검색하여 봐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면 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마무리하도록 하고 다음번에는 또 다른 글로 다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
투명드래곤 뜻과 유래 (feat. 울부짖었다) (0) | 2021.06.30 |
---|---|
로우킥빌런 (feat. 싸커킥빌런) (0) | 2021.06.21 |
아라아라(Ara Ara) 밈 뜻과 유래 (0) | 2021.06.14 |
마시쪙 뜻과 유래 (feat. 비둘기야 먹자) (0) | 2021.06.13 |
제로투 댄스 뜻과 유래 (1) | 2021.06.03 |
나락송 밈 (feat. 감스트) (0) | 2021.06.02 |
극락, 나락 밈 뜻과 유래 (0) | 2021.06.02 |
~긔 말투, 긔체 기원 알아보기 (0) | 2021.05.26 |